본문 바로가기
♣ 면역 다이어트 아카데미 ♣/건강정보

비만도 계산

by 4라이프 2015. 7. 31.

비만도 계산

 

 

비만을 진단하는 방법은 크게 4가지입니다.
1. 체질량지수를 이용한 비만의 진단.
2. 허리둘레를 이용한 복부비만의 진단
3. 생체전기저항분석법을 이용한 체지방률에 의한 비만진단.
4. 복부지방 전산화 단층촬영에 의한 내장비만 진단

 

 

체질량지수를이용한 비만도 계산

 

비만을 평가하는 가장 보편적인 방법이 체질량지수(BMI) 입니다.
체질량지수는 체중을 신장의 제곱으로 나눈값을 기준으로 합니다.

 

예) 신장 170cm, 70kg인 경우
체질량지수 = 체중(kg) / 신장(m)자승 = 70 / (1.7x1.7) = 24.2

 

체질량지수에 따른 비만 진단
- 저체중 : 18.2 이하
- 정 상 : 18.5 ~ 22.9
- 과체중 : 23 ~ 24.9
- 비 만 : 25 이상

 

 

허리둘레를 이용한 복부비만 계산

 

지빙이 많이 축척되는 부분이 복부와 둔부입니다. 허리둘레는 복부 내장지방량을 잘 반영하므로 비만진단에 널리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허리둘레측정방법

 

1. 먼저 양발을 25~30cm 정도 벌리 체중을 분산한 후 숨을 편안하게 내쉰 상태에서 측정한다.
2. 갈비뼈 가장 아래 위치와 골반의 가장 높은 위치의 중간 부위를 줄자로 측정한다.
3. 줄자가 피부를 누르지 않도록하여 0.1cm 까지 측정한다.
4. 북부의 피하지방이 과도하여 허리와 겹쳐지는 경우는 똑바로 선 상태에서 피하지방을 들어 올려 측정한다.

 

대한 비만학회에서는 남자 90cm (35인치) 이상, 여자 85cm (33.5 인치) 이상이 복부비만기준입니다.

 

세계보건기구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복부비만 기준은 남자 90cm (35인치) 이상, 여자 80cm (32인치) 이상입니다.

 

 

생체전기저항분석법에 의한 비만도 계산

 

신체에 약한 전류를 흘려 신체내 전기저항값을 측정하여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은 간편하고, 체지방량, 제지방량, 수분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측정시 주의사항
- 검사 4시간 전에는 먹거나 미시지 말 것.
- 검사 12시간 전에는 운동하지 말 것.
- 검사 30분 전에 소변을 볼 것.
- 검사 48시간 전에는 음주하지 말 것.
- 검사 일주일 전에는 이뇨제를 복용하지 말 것.
- 생리기간 중에는 체내 수분량이 증가되므로 검사하지 말 것.

 

 

 

 

체지방률에 따른 비만도 평가

 

남자 정상 : 18% 이하
남자 경계 : 19 ~ 24%
남자 비만 : 25% 이상

 

여자 정상 : 24% 이하
여자 경계 : 25 ` 29%
여자 비만 : 30% 이상

 

 

복부지방전산화단층촬영에의한 내장 비만도 계산

 

허리둘레가 복부 내장지방량을 잘 반영하지만
정확한 내장 지방과 피하지방의 분포를 평가하기 위하여 전산화 단층촬영 검사를 합니다. 내장 지방이 축척되는 경우 비민 관련 대사 질환의 위험성이 높습니다.

 

 

 

 

'♣ 면역 다이어트 아카데미 ♣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만이란?  (0) 2015.08.04
비만 원인  (0) 2015.08.01
비만 식사요법  (0) 2015.07.30
비만 운동법  (0) 2015.07.29
체중감량 목표 설정 방법  (0) 2015.07.28